객관적 확률과 주관적 확률

객관적 확률

  • 사건이 일어날 실제 가능성을 기반으로 구하는 확률을 말한다.
  • 시행 횟수를 무한히 늘렸을 때 사건이 실제적으로 일어나는 현상을 기반으로 한다.
  • 객관적 확률은 빈도론적, 고전적, 공리적으로 정의될 수 있다.
  • Objective Probability

우리는 삶에서 객관적 확률을 경험하기 어렵다.
우리는 객관적 확률을 실제로 경험하기 어려운데, 그 이유는 우리의 삶이 유한하고, 삶에서 경험하는 사건들은 무한에 가깝게 자주 반복되어 나타나지 않기 때문이다.

주관적 확률

  • 개인의 믿음이나 판단에 기반한 사건의 가능성을 기반으로 구하는 확률을 말한다.
  • 객관적 확률에 대비해서 시행 횟수가 적다.
  • Subjective Probability

주관적 확률은 나쁠까?
주관적 확률은 나쁜 게 아니다. 우리는 살아갈 때 주관적 확률과 객관적 확률을 모두 이용하면서 살아간다. 모든 일들, 의사 결정에 우리는 객관적인 판단만 하지는 않는다. 오히려 직관, 선호도와 같은 주관적 판단에 따른 의사 결정이 더 많다. 이렇게 우리는 주관적 확률을 이용해서 살면서, 어떠한 경험을 통해서 그 주관적 확률을 업데이트 해간다. 이렇게 업데이트 된 주관적 확률은 경험이나 연륜이라고 부를 수도 있다.

예시

객관적 확률의 예시

  • (1) 빈도론적 확률

같은 실험을 무한히 반복했을 때 나타나는 상대도수의 극한값

1
2
3
- 동전 던지기 : 동전을 아주 많이 던지면 앞면이 나오는 비율이 0.5 수렴한다.
- 주사위 던지기 : 6 나오는 비율은 1/6 가까워진다.
- 보험회사 관점의 사망률 : 개개인의 생사는 예측이 어렵지만, 수십만  규모 집단의 사망률은 거의 일정하다.
  • (2) 고전적 확률

모든 가능한 결과가 동일한 가능성을 가진다는 가정하에 계산되는 확률

1
2
3
- 동전 던지기 : , 뒷면이 나올 확률이 동일하다면 앞면이 나오는 비율은 0.5
- 정상적인 주사위 : 1~6 각각의 눈이 나올 확률은 모두 동일하므로 특정 눈이 나올 확률은 1/6
- 카드   뽑기 : 52장의 카드  특정 카드가 뽑힐 확률은 1/52
  • (3) 공리적 확률

확률을 수학적 공리(규칙)로 정의하여 일관성을 보장하는 방식
반복실험이나 동등한 가능성에 대한 가정이 없어도 확률을 논리적으로 다룰 수 있게 하는 수학적 토대

1
2
3
4
5
6
7
8
- 서로 겹치지 않는 사건 A, B 대해
  P(A  B) = P(A) + P(B) 이다.

- 전체집합 S  대한 확률 P(S) = 1이다.
  주사위 눈굼을 던져 1~6 어떤 수가 나올 확률은 1이다.

- 공집합인 사건이 나올 확률 P() = 0
  1~6 6눈금 주사위를 던져 7 나올 확률은 0

주관적 확률의 예시

  • (1) 머피의 법칙
1
2
- 급해서 택시를 기다리면  택시는 반드시  건너편에 나타난다.  
- 마트에서 줄을 서면  줄은 움직이지 않고,   줄만 줄어든다.  
  • (2) 커피의 가격과 맛
1
2
3
4
- 실험 참가자들에게 동일한 커피를 가격만 달리 붙여 시음하게   
- 이후 맛있는 커피를 선택하게끔 했을  -> 주로 비싼 커피가 맛있다고 답변함  
- 시음 횟수가 많이 증가하면,  커피 맛이 같음을 알게 되겠지만..  
- , 시행횟수를 늘리면 주관적 확률은 객관적 확률에 수렴한다.  

Reference

통계로 세상 읽기 - 이긍희, 이기재, 장영재, 박서영, 한종대 공저
방송통신대 - 통계로 세상 읽기 강의
https://m.blog.naver.com/mmysmmys/222009435301

Comments