국가 통계

정의

  • 국가상태를 측정해서 숫자로 요약한 것
  • 통계법에 의거해 정책 수립 및 평가 등에 활용할 목적으로 작성하는 숫자정보

사용

  • 국가의 각종 정책 또는 계획의 기초자료가 된다.
  • 국가통계는 “숫자로 쓴 역사책” 이라고 할 수 있다.
  • 국가통계를 이해하려면, 해당 분야의 지식 + 통계를 읽을 수 있는 통계 기초 지식이 필요하다.

역할

  • 국가의 제도적 틀(소프트 인프라)을 설정하고 유지하며 국민의 합의를 도출해 일관된 국가전략을 추구하기 위한 국가 경영의 하부구조 역할을 한다.
  • 영국 정부의 “통계에서의 신뢰의 구축” 보고서를 보면, 국가통계는 믿음을 기저로 하는 민주주의 제도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한다고 명시한다.
  • 때문에 국가 통계를 조작한다는 것은, 국가의 근간을 흔드는 위험하고 위법한 일이 될 수 있다.

종류

종류 설명
인구 통계 - 태어나고, 죽고… 등에 대한 인구 통계
- 예시 : 인구주택총조사, 장래인구추계
국민소득통계 - GDP
- 1929년 미국 대공황 > 경제상황 파악할 수 있는 GDP 통계 부재 > 경기침체 지속
- 1930년대 초 GDP 통계 개발 > 경제 진단 및 정책 수립에 활용 > 경기침체 방지
- 20세기 최대 발명 중 하나라는 평가도 있다.
소비자물가지수 - CPI
- 소비자가 일상생활에서 사는 상품과 서비스의 가격을 바탕으로 작성
- 인플레이션율 : CPI 의 상승율. 한국은행은 이를 바탕으로 기준금리를 정한다.

Reference

통계로 세상 읽기 - 이긍희, 이기재, 장영재, 박서영, 한종대 공저
방송통신대 - 통계로 세상 읽기 강의

Comments