통계
정의
관심 대상의 데이터를 요약한 “숫자 정보”
- 나열된 많은 데이터들을 요약하고 정리한 숫자 정보.
- 특정 집단 특성을 요약, 예측하는 데 사용되는 숫자정보.
- 데이터를 평균이나 지수와 같은 형태로 요약한 것.
통계의 종류
| 분야 | 통계(숫자정보) |
|---|---|
| 날씨 | 강수확률, 기온, 불쾌지수, 빨래지수 |
| 경제 | GDP(국내총생산), 인플레이션율, 주가지수, 환율, 금리, 실업롤 |
| 여론조사 | 정당지지율, TV 시청율 |
| 마케팅 | 소비자 만족도 |
| 스포츠 | 타율, 장타율, 패스 성공률 |
| 교육 | IQ, 평균 점수 |
통계학
정의
관심 대상의 데이터를 요약, 정리하고 이를 이용해 의사결정을 하는 방법과 관련된 학문
- 데이터의 공정한 수집, 정리, 요약, 그리고 이를 이용한 미지의 사실에 대한 추측, 이를 기반으로 한 의사결정 방법이나 일반적 규칙성을 끌어내는 이론과 방법을 제시하는 학문
- 통계가 확률이론과 결합한 것으로, 통계로 세상을 체계적으로 이해하고, 의사결정할 수 있는 방법의 학문인 통계학이 정립되었다.
통계학 적용 예시
| 구분 | 예시 |
|---|---|
| 데이터의 수집과 분석 | 표본조사, 실험 |
| 데이터의 요약과 설명 | 1인당 국민소득, 타율과 연봉의 상관관계 |
| 데이터로부터 결론 도출 | 경제성장률 예측, 신약 승인 |
통계와 통계학의 관계
statistics
- 통계와 통계학 모두 영문으로는 statistics 이다.
통계를 보기 위해서는 통계학을 알아야 하나?
- 통계로 어떤 분야를 이해할 때에는 -> 해당 분야에 대한 도메인 지식이 중요하며, 통계학은 반드시 필요한 것은 아니다.
- 통계로 어떤 분야를 분석하고 예측할 때에는 -> 통계학이 필요하다.
통계 리터리시
정의
- 통계 이해력
관련 이야기
- H. G. Wells 가 저서에서 “통계적으로 생각하고 판단하는 것은 읽기나 쓰기 능력과 마찬가지로 유능한 시민이 되기 위해 반드시 갖추어야 한다.” 라는 말을 함
Reference
통계로 세상 읽기 - 이긍희, 이기재, 장영재, 박서영, 한종대 공저
방송통신대 - 통계로 세상 읽기 강의
Comments