[package] : 컴파일에 필요한 구성 정보(이름, 버전, 사용한 Rust 에디션) 명세
[dependencies] : 프로젝트의 종속성 라이브러리 명세.
Rust 에서는 코드 패키지(라이브러리)를 Crates(크레이트) 라고 지칭함.
Cargo 를 사용하는 이유
간단한 프로젝트의 경우 rustc 로 컴파일하나, Cargo 로 컴파일하나 큰 차이 없음.
프로그램이 복잡해지면 rustc 만으로 프로젝트를 관리하기는 힘듦.
Cargo 가 자동으로 여러 종속성을 관리하고, 빌드를 조정함으로써 프로젝트 관리에 큰 편의성 제공
Cargo 사용하기
Cargo build
프로젝트를 빌드할 때 사용하는 명령어
빌드 : 작성한 코드를 기반으로 바이너리(애플리케이션)를 생성하는 일련의 작업
빌드와 관련한 자세한 내용은 이후의 포스트에서 다시 다룰 예정.
1
2
3
4
5
6
7
cargo build [option]
# --release : 애플리케이션 배포용 릴리스 빌드 # --verbose : 빌드 과정을 자세히 출력# --target : 실행될 플랫폼을 지정하여 빌드# (x86_64-unknown-linux-gnu / wasm32-unknown-unknown ..)# 등등..
Cargo Run
프로젝트를 빌드한 다음 바이너리(애플리케이션)을 실행시키는 명령어
즉, cargo build 명령어를 포함한 명령어임.
바이너리 경로를 몰라도 바이너리 실행까지 작동되므로, build 보다 선호됨
1
2
3
4
5
6
7
8
cargo run [option]
# run 은 build 명령어를 포함 -> build 옵션 유지 + 실행 관련 옵션 추가됨.# --release : 상동# --verbose : 상동# --target : 상동# --[인자명] 값 : 실행시 특정 인자에 대한 값을 지정하여 실행# 등등...
Comments