문자형
정의
- 문자형은 한 글자의 문자를 표현할 때 사용한다.
- 문자형은 단일 문자나 정수형의 값을 할당할 수 있다.
- 내부적으로 문자형은 정수형 값을 가진다.
- 문자값을 담을 때에는, 값을 홑따옴표로 감싸 표현한다.
- 정수형을 담는 경우, 내부적으로 해당 정수의 ASCII 코드값에 해당하는 문자로 표현된다.
문자형 자료형 정리
| 구분 | 자료형 | 설명 | 크기 |
|---|---|---|---|
| 문자형 | char | 문자 하나를 담을 수 있는 자료형 0 ~ 255 -128 ~ 127 |
1 |
문자형 알아보기
문자형에 값 할당하기
char라고 표현한다.- 문자형은
1바이트의 단일 문자혹은정수형값을 담을 수 있다. - 1바이트의 단일 문자는 영어 알파벳, 숫자, 기본 기호 등에 해당된다.
- 변수에 단일 문자 값을 담을 때에는
값과 같이 홑따옴표로 감싼다. - 출력할 때에는
%c라고 표현한다.
1
2
3
4
5
6
7
8
9
10
11
12
13
14
15
16
17
18
// char 형의 표현
ch1 = 'A'; // 홑따옴표 안에 문자
printf("ch = '%c'\n", ch1); // %c 로 표현
printf("'%c'의 ASCII 코드 = %d\n", ch1, ch1); // 정수형으로도 표현할 수 있음
>> ch = 'A'
>> 'A'의 ASCII 코드 = 65
// 정수를 할당하기
char ch2 = 0x42;
printf("ASCII 코드 %d의 문자 = '%c'\n", ch2, ch2); // 정수형을 문자형으로도 표현할 수 있음 (16진수)
>> ASCII 코드 66의 문자 = 'B'
char ch3 = 67;
printf("ASCII 코드 %d의 문자 = '%c'\n", ch3, ch3); // 10진수 정수형으로도 가능
>> ASCII 코드 67의 문자 = 'C'
문자형의 범위와 크기
- 문자형은 256개의 값을 표현할 수 있다.
- 1byte의 크기를 가진다.
1
2
3
4
5
6
7
8
9
10
11
12
13
14
15
16
17
18
19
20
21
22
23
// min max (signed)
char min_char = CHAR_MIN;
char max_char = CHAR_MAX;
printf("char 자료형의 범위(s) : %c, %c\n", min_char, max_char);
printf("char 자료형의 범위(s) : %d, %d\n", min_char, max_char);
>> char 자료형의 범위(s) : ?,
>> char 자료형의 범위(s) : -128, 127
// min max (unsigned)
unsigned char min_uchar = 0;
unsigned char max_uchar = UCHAR_MAX;
printf("char 자료형의 범위(us) : %c, %c\n", min_uchar, max_uchar);
printf("char 자료형의 범위(us) : %d, %d\n", min_uchar, max_uchar);
>> char 자료형의 범위(us) : , ?
>> char 자료형의 범위(us) : 0, 255
// size of
char ch;
printf("char 의 size : %d\n", sizeof(ch));
>> char 의 size : 1
Reference
C 프로그래밍 (김형근, 곽덕훈, 정재화 공저)
C 프로그래밍 강의 (방송통신대 - 이병래)
Comments